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Tigers/2015 시즌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NAVER 2015 LoL KeSPA Cup]] == 로스터의 변화는 없는 상태. 대회를 앞둔 시점까지는 새로운 후원이 없는 상태이다. 그래서 Tigers라는 팀명으로 참가하며, 선수들의 ID에도 TG가 들어간다. 하지만 일부 선수들의 유니폼에는 여전히 [[KOO TV]]의 패치가 붙혀져 있는데, KOO 시절의 옷을 그대로 입고 나온 걸로 보인다. 12강 상대가 지난 서머 최하위를 기록한 [[SBENU SonicBoom|스베누 소닉붐]]이였기에 무난하게 상위 라운드로 진출할 것이라 예상됐으나, '''스베누에게 0:2 완패를 당했다.''' 물론 타이거즈의 패배에는 나름 사정이 있다. 롤드컵 일정을 소화하기 위해 장거리 원정 일정을 치르고도 휴식 시간을 거의 가지지 못했고, 롤드컵과는 달랐던 게임 버전에 적응할 연습 시간도 충분히 주어지지 못했다. 대회가 시작하는 시점에 아직까지 해결되지 못한 스폰서 문제 또한 감안하면 많은 사람들이 타이거즈가 이번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내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롤드컵 기간 내내 리빌딩을 하거나 휴식 혹은 적응기간을 가진 중하위권 팀들과는 상황이 다르다는 이야기이다. 같이 롤드컵에 나갔으나 8강전에서 탈락한 kt와 비교해도 결승전까지 치르고 귀국한 타이거즈가 귀국 시기도 훨씬 늦었고 타이거즈는 이제 케스파의 해외 지원 대상도 아니다. 절대적으로 연습량이 부족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데 연습 환경 자체도 열악했다는 의미. 재작년 롤드컵 우승과 LCK 윈터 전승 우승 사이에 SKT가 WCG 광탈을 했었던 것을 감안하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일이다. 다만 그 당시 SKT의 상대는 2014 시즌에 엄청난 강호로 성장하게 되는 삼성 블루였고, 이번 타이거즈의 상대는 LCK 최약체로 꼽히던 스베누였기 때문에 일단 8강은 손쉽게 진출할 것이라고 많은 팬들이 기대했는데 스베누가 서머의 그 스베누가 아니었다.[* 전문가들과 현역 선수들로부터 좋지 못한 평가를 받던 정글러 캐치가 빠지고 LCK 승강전에서 맹활약했던 플로리스가 출전했는데, 전체적인 경기력이 서머 최악의 경기력을 선보이던 그 팀이라고는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발전했다.] 그래도 하락한 폼에도 불구하고 중간중간 불리한 상황에서도 날카로운 한타력을 보여주며 아직 호랑이의 발톱이 모두 빠진 것은 아니라는 것을 입증했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팬들의 인정을 받으며, 경기력이 크게 혹평받고 있지는 않다. 이는 12강에서 욕먹고 있는 다른 세 팀들은 경기력면에서 상대의 실력 이전에 해당 팀들이 못했다 라는 느낌이 강한 반면 타이거즈는 스베누가 잘해서 이겼다 라는 말이 충분히 나올만한 경기력이였기 때문.[* 거기다가 앞의 세 팀은 타이거즈처럼 준비 기간이 적거나, 후원사가 없는 등의 페널티가 전무하다.] 귀국한 지 일주일도 채 안된터라 시차 적응의 문제도 있고 대회를 준비할 환경이 제대로 갖춰지지 못했던 타이거즈가 일시적으로 폼을 되찾지 못했다는 느낌이 좀 더 강한 부분이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